> 포토뉴스

한국 ‘탈춤‘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 결정

기사입력 : 2022-12-28 09:19:00 최종수정 : 2022-12-28 09:19:00

 

최근 한국의 전통 가면극인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됐다. 해당 결정은 모로코 라바트에서 열린 제17차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정부간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한국 탈춤을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올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결정으로 인해

양주별산대놀이 북청사자놀음 하회별신굿탈놀이 등 13개 국가무형문화재와 강원 속초사자놀이 경기 퇴계원산대놀이 경북 예천청단놀음 등 5개 시·도무형문화재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됐다.)

 

최근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202211월 초 한국 탈춤에 등재 권고판정을 내렸다. 당시 평가기구는 한국 정부가 제출한 신청서를 모범 사례로 선정하며 탈춤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적 의미를 명확하게 설명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유네스코 유산으로 선정 될 시에 해당 국가가 선정된 유산을 제대로 관리또는 유지하기 어려울 경우에 유네스코로부터 기술적이나 재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또한 있다.

 

이어서 한국 탈춤은 굉장히 높게 평가받는 문화유산 중 하나인데 그 이유는 연극과 무용음악이 모두 들어있는 종합예술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사회 풍자, 부조리 라는 어려운 주제를 경쾌하고 재치있는 춤, 노래, , 동작 등을 통해 풍자한다. 과장된 연기로 관객의 몰입, 또는 동조와 야유를 이끌어 내면서 동시에 이또한 공연의 한 부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탈춤의 특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탈춤이 강조하는 보편적 평등의 가치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주제라는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고 말했다.)

 

최근 탈춤까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한국은 22개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최초 인류무형문화유산은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판소리 강릉단오제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등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2020년 불교 행사 연등회가 목록에 오른 게 가장 최근이다.

 

또한 무형유산위원회는 이날 북한의 평양랭면 풍습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북한은 아리랑, 김치 담그기, 씨름(남북 공동 등재) 등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날 한복을 입고 회의에 참석한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대한민국 문화유산 보존을 담당하는 기관의 대표로서 무형유산 보호에 대한 큰 책임감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됐다한국을 넘어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탈춤 문화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