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북 전주에 있는 한국전통문화전당이 '한복 근무복'을 도입했다가 왜색 논란에 휩싸였다. 한국전통문화전당은 한복 문화의 가치와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일상에서 한복 착용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매주 금요일 '한복 근무복'을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검은색 태극기의 괘와 태극기 바탕의 흰색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개량 한복으로 흰 옷깃에는 전당의 로고를 새겨 넣었고 가슴에는 전당의 영문 이니셜이 들어간 국화매듭 브로치를 달았다. 총 80벌을 제작하는데 전당 운영비 960여만원이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해당 개량한복 근무복 공개이후 누리꾼들의 반응은 싸늘했다. 일각에선 ‘초밥집에서 이랏샤이마세 할 것같다’, ‘예쁜 개량 한복이 얼마나 많은데 하필..’, ‘일본 주방장을 연상시킨다’등등 다양한 비판적 의견이 쏟아졌다. 명색이 전통문화원이 일본스러운 유니폼을 맞췄다고 비판에 목소리가 붉어지고 있다.
해당 전문가또한 근무복 옷깃의 형태와 옷의 색감 등을 보고 일본 의상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한복은 저고리 깃 위에 흰색의 긴 헝겊인 동정을 덧대는데, 근무복에는 회색톤의 전당 로고가 새겨져 기모노 옷깃에 덧대는 하네리(半衿)를 연상케 한다. 도내 한 대학교의 패션디자인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에 "근무복의 옷깃 문양과 폭을 보면 일본풍 의상을 떠올리기에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전통문화전당도 이러한 지적에 대체로 수긍했다. 전당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생활한복점에서 판매 중인 제품을 구매해서 옷깃에 프린트를 넣고 브로치를 달았다"며 "일본 느낌이 많이 나는 것이 사실이어서 조금 안타깝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당의 로고 색을 차용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어두운 분위기가 연출됐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