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속되 경기침체로 소비자들의 소비심리가 얼우 붙으면서 부동산 시장의 향방이 안갯속입니다. 금융 전문가들 사이에선 올해 금리 인상세가 꺾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높은 수준입니다 부동산 전문가들 역시 주택 시장의 냉각기가 올 들어 조금씩 풀릴 것이란 전망과 여전히 하락기라는 전망을 뒤섞어 내놓고 있습니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빅데이터 업체 부동산R114는 이런 상황을 "내리막길에서 우왕좌왕하고 있다"는 말로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의 잇따른 금리 인상으로 대출이자 부담이 불어나면서 매수세가 위축되고 거래량이 급감한 건 공통적인 현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경기침체와 고물가가 맞물리면서 주택시장이 불투명 하지만 여전히 서울 아파트에 대한 실수요자들의 관심은 여전합니다. 언제, 어떻게, 무엇을 살 지에 대한 결정을 못할 뿐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서울에 대한 실수요자들의 선호도는 높습니다.
정부가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무주택자는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유주택자는 ‘부동산 거래 활성화’를 최우선 해결 과제로 선정되며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정책은 ‘전세사기 근절방안’으로 조사됐습니다.
직방 관계자는 “수요자마다 기대하는 정책이 다르듯이 모두를 만족시키는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무주택자에게는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간 마련에 필요한 정책이, 유주택자에게는 자산의 가치를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집값 변동 폭은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1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한 주 전에 비해 0.35% 떨어졌습니다. 그 전 주엔 0.45% 떨어졌지만 낙폭이 소폭 줄었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가 이달 초 부동산 규제를 대대적으로 푼 영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달 초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 지역과 규제 지역을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등 4개 구만 남겨 놓고 전면 해제했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를 분양 받을 때 최대 5년간 거주해야 하는 실거주 의무는 폐지키로 했습니다. 분양가 12억원까지만 가능한 중도금 대출도 분양가와 관계없이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분양 아파트 전매 제한 기간도 대폭 줄였습니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 회복을 위해 움직이면서 서울 집주인들이 일부 급매물을 거둬들인 것이 호가 하락을 막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이 많습니다.